2025. 1. 24. 21:25ㆍBackend/Spring
개요
백엔드 개발을 진행을 할 때마다 찾는 정보가 있는데, 어떻게 만들었지에 대한 정보와 의존성에 대한 정보 검색이다.
이번에는 스프링을 개발하기 앞서서 어떻게 프로젝트를 만들어야 되는지에 대해서 적어볼까 한다.
스프링 프로젝트 다운받기
Spring | Home
Cloud Your code, any cloud—we’ve got you covered. Connect and scale your services, whatever your platform.
spring.io
가운데 있는 QUICKSTART를 누른다.
start.spring.io를 누른다.
기본 설정하기
이제 설정을 해보자.
서버 설정 및 프로젝트 빌드 설정
- Project : Spring Boot를 빌드하고 배포 방식을 선택
- Language : 사용할 언어를 선택하면 된다.
- Spring Boot : SNAPSHOT이 데모버전이고, 높은 버전은 높은 자바버전을 필요로 한다.
- Group : 도메인이 있다면 이름을 적어 넣으면 된다.
- Artifact : 빌드되면 나올 결과물
- Name : 프로젝트 이름이다. (보통 Artifact와 동일하게 사용함)
- Description : 프로젝트 설명
- Package name : group, artifact를 설정하면 자동
- Packaging : 나중에 빌드를 하면 나올 출력물 확장자명
의존성 추가
블로그 주인장은 대략적으로 Spring Web, Lombok, mysql을 사용할 것이어서 이렇게 의존성을 설정했다.
무조건 처음에 의존성을 다 설정해야 되는 것이 아니니 편하게 설정하자.
하면 압축파일로 나오게 된다 이것을 압축을 풀고 프로젝트 오픈으로 열면 된다.
IntellJ 인경우
프로젝트 만들기
프로젝트 Spring Boot 누르고 설정
의존성 추가하기
생성!
이제 기다려주고 왼쪽 밑에 파란 줄이 전부 다 되면 바로 사용할 수 있다.
간단하게 테스트해보자.
간단하게 클래스를 만들고 테스트를 해보았다.
느낀 점
이제 스프링 설정하는 방법은 안 잃어먹을 것 같다...!
사실 오늘 강의를 듣는데 힘든 날이었다.
강의 내용은 길고, 내가 왜 취미 생활들을 버리고 공부를 왜 하고 있는지 각종 이상한 생각을 하게 돼서
중심을 잡는데 힘들었다. 아마 내가 힘들지 않아서 그런 것 같다.
이제 프로젝트를 진행을 하면서 힘들면 아마 정신이 돌아오지 않을까 싶다.
더 힘내보자... 파이팅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프로젝트 하면서 느낀 아쉬운점 & 배운점 등 (0) | 2025.02.20 |
---|---|
[JPA] 연관관계가 있는 객체를 한번에 없애보자. (0) | 2025.02.13 |
[Spring] 환경변수를 설정해서 내 정보가 github에 올라가지 않도록 하기! (0) | 2025.02.11 |
[Spring] SimpleJdbcInsert로 컬럼 지정하기 (1) | 2025.02.04 |
[Spring] Swagger 사용방법에 대해 간단하게.araboza (2) | 2025.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