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3)
-
[RESTful API] 어떻게 하면 좀 더 RESTful 해질 수 있을까?
개요블로그 주인장은 API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도 없이 백엔드 개발 좀 진행을 해보았다.하지만 처음에 코딩을 할 때는 간단한 지식 밖에 없어서URL 을 다른 API 이용자가 편하게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된다고 생각만 했다. 그것이 어떤 방식이 있는지 찾아보지 않고 진행을 하였고https://localhost:8443/get/userdata이런 식으로 URL에서 어떤 뜻을 사용하는지 적어두었다.당연히 사용한 HTTP method는 get과 post 밖에 사용하지 않았다. 이제는 Restful 에 대해서 알고 있지만, 옛날 같은 실수를 하지 않기 위해서그리고 공부를 하던 도중 새롭게 알게 된 내용으로 어떻게 API을 만들어야 되는지 적어볼까 한다. 모든 것은 실수로부터 시작하고 배운다.HTTP..
2025.01.23 -
[HTTP] Persistent Connent(지속 연결)에 대해서.araboza
개요지금까지 나는 서버에서 통신은 3way handshake, ssl handshake 만 알고 있었다.한번 통신을 보낼 때마다 전부 한번씩은 하는 줄 알았는데, 그런 방법이 아니였다. 그 방법의 이름은 HTTP 지속 연결을 하여 통신을 하는 방법이였다. 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생긴 이유 HTTP persistent connection - Wikipedia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Using a single TCP connection to send and receive multiple HTTP requests/responses HTTP persistent connection, also called HTTP keep-alive, or HTTP connectio..
2025.01.22 -
[CS] 자바에서 싱글톤 사용하는 법 with Java, Spring
개요디자인 패턴 중에서 '싱글톤' 이라고 불리는 디자인 패턴이 있다이 '싱글톤' 디자인 패턴은 어떻게 만드는지, 어디에 사용하는지, 왜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같이 알아보자. 싱글톤(Singleton) 패턴이란?오직 하나의 클래스에 하나의 인스턴스만 가지는 패턴이라고 볼 수 있다.보통 DB 연결 모듈에 사용을 한다. 장점하나의 인스턴스를 다른 모듈과 공유를 하며 사용하기 때문에 인스턴스 생성 비용(메모리)이 줄어든다.사용하기가 편하다.단점모듈간의 결합을 강하게 만들 수 있다.단위 테스트가 어렵다. 단점인 결합도를 어떻게 낮출수 있는가?의존성(종속성이라고도 함) 주입을 통해 모듈간의 결합을 조금 더 느슨하게 만들어서 해결을 할 수 있다. 위에 이미지를 보면 원래 메인 모듈에서 점점 하위 모듈로 의존성을 주..
2025.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