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24. 00:02ㆍBackend/Github
개요
우리 일을 하다보면 많이 이런 경험을 할 것이다.
![]() |
![]() |
![]() |
![]() |
![]() |
최종 | 최최종 | final_최종 | 최종_final | 진짜_최종ㄹㅇ |
(그래서 뭐가 진짜 최종이에요?)
이런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런 것을 어떤 것을 바꾸었는지, 언제 바꾸었는지를 기록해주는 것이 Git 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 |
![]() |
![]() |
![]() |
![]() |
![]() |
일주일 전 수정 내용 마지막 내용 추가 |
5일 전 수정 내용 마지막 페이지 삭제 |
4일 전 수정 내용 글쓴이 추가 |
3일 전 수정 내용 챕터 추가 |
2일전 수정 내용 챕터 삭제 |
지금 |
그러면 Github는 무엇인가? 생각을 해보면
우리가 기록을 하는 것을 남에게 공유를 할 수 있게 해준다면? 남이 수정을 할 수 있게 되고, 즉 협업이 가능하게 된다.
![]() |
![]() |
![]() |
![]() |
4일전 수정한 사람 : 팀원1 수정 내용 마지막 내용 추가 |
3일 전 수정한 사람 : 팀장 수정 내용 마지막 페이지 삭제 |
2일전 수정한 사람 : 팀원4 수정 내용 챕터 삭제 |
지금 |
0. 깃 과 깃허브 설치
기본적으로 깃과 깃허브를 설치를 해주셔야합니다.
1. 깃 생성
일단 팀장될 사람이 git repository을 작성을 한다.
블로그 주인장은 단순하게 Repository name만 적었다.
이제 가장 중요한 주소를 복사를 한다.
2. 깃을 복사를 해온다.
간단하게 git clone으로 연결을 해주었다.
3. 깃에 올려보자.
git init
git add .
git commit -m '내용'
git push [브랜치 이름] [github URL]
사실 편하게 한다고 github 에서 바로 레포지토리를 생성을 해주었고
그 주소를 바로 받아와서 clone을 사용을 해주었지만 사실 위에 방법을 그대로 따라해야 정상적인 길을 따라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전에 git Repository을 생성 해주었고 이제 올려볼 차례이다.
2. 코드를 작성을 해줍니다.
예시 코드를 만들어줍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ody>
</html>
3. 코드를 추가를 해줍니다.
순서대로 사용을 합니다.
git add.
//git add [파일명]
//git add [파일명], [파일명], ...
git commit -m "추가한 내용 적어주기"
작성한 모든 프로그램을 추가를 하는 방법은 add . 을 사용해주시고,
각 파일만 올리는 방식은 // 첫번째 줄, 여러 파일을 선택을 해서 올리실거면 // 두번째 줄을 사용해주세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commit 을 해주시면됩니다.
무조건 git add 와 git commit 은 한 팀입니다. 같이 사용을 해주셔야합니다.
4. 코드를 올려줍니다.
git push
// git push origin main
git push 는 밑에 사용된 주석은 git push 와 같은 말입니다.
이렇게 하시면 github에 올라가게 됩니다.
이 이후 자세한 내용은 2편에서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Backend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onventional Commits 에 대해서.araboza (1) | 2025.02.05 |
---|---|
[Github] 기초 명령어 및 사용 방법 3편 (1) | 2025.01.02 |
[Github] 기초 명령어 및 사용 방법 2편 (0)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