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2. 31. 21:20ㆍBackend/Github
앞선 1편 내용을 확인하고 와주세요.
[Github] 기초 명령어 및 사용 방법 1편
개요우리 일을 하다보면 많이 이런 경험을 할 것이다.최종최최종final_최종최종_final진짜_최종ㄹㅇ(그래서 뭐가 진짜 최종이에요?) 이런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런 것을 어떤 것을 바꾸었는지,
strnetwork.tistory.com
1. git branch 활용하기
깃의 핵심은 사실상 브랜치의 이용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브랜치로 인해 git flow 등이나 백업, 협업등이 더욱 원할하게 진행이 되기 때문이다.
이제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1-1. git branch 생성하기
git branch [생성될 브랜치 이름]
이렇게 하면 생성을 할 수 있다.
생성된 브랜치를 확인해보자.
1-2. 생긴 브랜치 확인해보기
git branch // 브랜치 목록 확인
git branch test 로 생성을 하고 git branch로 바로 생성된 브랜치를 확인할 수 있다.
1-3. 생긴 브랜치로 이동해보기
git checkout [이동할 브랜치 이름]
git switch [이동할 브랜치 이름]
두개 전부 같은 명령어이다.
1-4. 번외
git checkout -b [생성되어 이동될 브랜치 이름]
git switch -c [생성되어 이동될 브랜치 이름]
브랜치를 생성하면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는 명령어도 존재한다.
각각 b 는 브랜치(branch)를 의미하며, c는 생성(create)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모두 같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참고로 브랜치 이름 옆에 별모양(*)이 있고 초록글씨라면 현재 있는 브랜치를 의미한다.
2. 브렌치 합치기
이제 github의 진실된 힘이 나오게 된다.
내가 만약에 Main branch에서 test3 브랜치를 복사를 해서 작업을 하였다.
CSS, HTML
body {
background-color: aqua;
}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ody>
</html>
git switch test3
//작업
git add .
git commit -m 'done. html, css'
git push
여기까지 하면 현재 작업 목록이 test3 브랜치에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내용이 Main 브랜치에는 없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내가 작업한 test3 브랜치 내용을 어떻게 main(master) branch로 가져올 수 있을까?
git switch [합쳐질 공간// 현재는 master]
git merge [합칠 브렌치// test3]
이 상태가 github에 올라가 있는 것은 아니다.
위에 그림이 현재 상태라고 볼 수 있다.
적용시키는 법은 우리가 자주 사용한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git add .
git commit -m 'main test3 merge'
git push
확실하게 합쳐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3. 브랜치 합치기 (ver. 실무)
사실 위에 2번은 실무에서 절대 사용하지 않고, 개인적으로 혼자할 때 정도 사용한다.
실제에서는 pull-Request를 사용을 많이 한다 줄여서 PR 이라고 한다.
이제 방법을 알아보자.
다시 test3 브랜치로 돌아와서( merge 한다고 브랜치는 삭제되지 않는다. )
index.js을 만들어서 github origin에 올려보자.
index.js
const btn = () => {
alert("hello word");
};
git add .
git commit -m 'done. index.js'
git push
test3 에서 github origin으로 push을 하고 들어가면 pull request을 하라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부터는 콘솔창에서 진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github에서 진행을 해야된다.
3-1. pull request 확인하기
제목을 적고 설명을 적은다음
내 코드를 확인해줄 Reviwers을 적어주어야한다.
실무에서는 자신보다 상관 혹은 직장동료들이 예시가 될 것이다.
3-2. merge pull request 하기
여기서 중요한 점은 남이 코드를 확인하고 허가를 해주어야 하지만
현재 프로젝트는 혼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넘기도록 하겠다.
이렇게 되면 merge가 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느낀점
github 특강을 정리하면서 git 의 branch을 정말 다르게 보게 되었다.
이제 다음편에 적을 내용에 git flow 전략에 대해서나,
혹은 git merge을 하는 경우 git에서 나오는 트러블을 해결하는 간단한 방법에 대해서 이어서 적을까 한다.
우리가 간단하게 사용하고 있던 것들이 사실 활용성 면에서 엄청나다는 생각이 매번 드는게 그저 신기할 나름이다.
'Backend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onventional Commits 에 대해서.araboza (2) | 2025.02.05 |
---|---|
[Github] 기초 명령어 및 사용 방법 3편 (1) | 2025.01.02 |
[Github] 기초 명령어 및 사용 방법 1편 (1) | 2024.12.24 |